반응형

부동산 투자나 내 집 마련을 고려하고 있다면 KB부동산 통계보드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합니다.
이 글에서는 KB부동산 통계보드 보는 방법, 중요 지표 설명, 그리고 이를 부동산 시장 예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.
✅ KB부동산 통계보드란?
KB부동산 리브온(Liiv ON)에서 제공하는 통계보드는 전국 아파트 가격, 전세가, 매매가 변동률, 수급지수 등 다양한 부동산 핵심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
KB부동산 통계보드 바로가기
KB부동산 데이터허브
data.kbland.kr

🔍 통계보드 보는 방법
1. 지역 선택
- 통계보드에 접속하면 시도/시군구/읍면동 단위로 지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매 및 전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요.
2. 주요 지표 설명
지표명 | 의미 | 활용팁 |
매매가격지수 | 아파트 매매 가격의 변동 추이 | 상승/하락 트렌드 확인 |
전세가격지수 | 아파트 전세 가격의 변동 추이 | 전세 수요/공급 흐름 파악 |
수급지수 | 매수자 대비 매도자 비율 (100 초과 시 매수우위) | 시장 심리 판단 지표 |
매매/전세 거래량 | 실거래 신고 기준의 월별 거래량 | 활황기/침체기 판단 가능 |
입주 예정 물량 | 향후 몇 개월간의 아파트 입주 수 | 공급 과잉 여부 판단 가능 |

💡 부동산 시장 예측에 활용하는 방법
1. 수급지수 + 거래량 분석
- 수급지수가 높고 거래량도 많다면, 상승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.
- 반대로 수급지수가 낮고 거래량이 적다면, 조정기 혹은 하락장이 예측됩니다.
2. 입주 예정 물량 체크
- 특정 지역의 입주 물량이 급증하면 공급 과잉으로 전세가 하락 → 매매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.
- 이를 통해 지역별 매수 시점 판단이 가능합니다.
3. 전세가율을 통한 실수요 판단
- 전세가율(전세가/매매가 비율)이 80% 이상이면 실수요가 강한 지역으로 판단 가능.
- 투자보다는 실거주 수요가 강한 지역에서 안정적 매입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
4. 과거 데이터로 트렌드 분석
- 최근 6개월~1년 간의 가격 지수를 비교해 장기 추세를 파악하세요.
- 급등 후 조정 국면인지, 상승 초입인지 판단하는 데 유용합니다.

✨ 활용 예시
예) 2025년 4월 기준 서울 강동구의 수급지수가 115, 매매지수가 꾸준히 상승 중이며, 거래량도 증가세라면?
→ 강동구는 현재 매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판단되어,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음. 다만, 입주 예정 물량이 많다면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둘 것.

🔎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
- 내 집 마련을 고민 중인 30~40대
- 부동산 재테크를 시작하고 싶은 분
- 시장 흐름을 미리 파악하고 싶은 투자자
- 전세/매매 타이밍을 알고 싶은 세입자
📈 마무리: 통계보드 활용으로 똑똑한 의사결정을!
KB부동산 통계보드는 단순한 숫자 나열이 아니라, 시장 흐름을 읽는 나침반입니다. 꾸준히 데이터를 관찰하고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면, 내 집 마련부터 부동산 투자까지 한발 앞선 판단이 가능해집니다.
반응형